티스토리 뷰
목차
스킨, 로션, 클렌징폼, 치약, 선크림까지. 우리는 매일 화장품을 사용하지만, 다 쓰고 난 뒤 공병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헷갈리기 마련입니다. 특히 펌핑용기나 튜브형 용기처럼 **재질이 혼합된 제품은 더욱 세심한 분리가 필요**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**화장품 공병의 재활용 기준과 배출 시 유의사항**을 정리합니다.
화장품 용기는 왜 분리배출이 까다로울까?
화장품 용기는 보통 플라스틱, 유리, 금속, 고무 등 다양한 재질이 혼합되어 있어 단일 재질로 배출하기 어렵습니다.
또한 내용물이 남아 있거나, 세척이 어려운 경우 **재활용 대상에서 제외**될 수 있습니다.
📌 **재질 분리 + 내용물 제거**가 핵심입니다.
펌핑형 공병, 꼭 분리해서 버리세요
✔ 펌프형 용기는 보통 몸체는 **PP, PET** 등의 플라스틱, 노즐은 **금속 스프링+고무**가 섞여 있어 반드시 분리해야 합니다.
① 펌프 헤드 분리 → 일반쓰레기 ② 용기 내부 잔여물 헹구기 ③ 플라스틱 본체만 플라스틱류로 분리배출
📌 *헹굴 때는 뜨거운 물을 활용하면 잔여 화장품 제거가 수월합니다.*
튜브형 용기(치약·클렌징폼)는 재활용될까?
튜브형 용기는 대부분 **복합재질(PE + 알루미늄 or PET 코팅)**로 되어 있어
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며 일반쓰레기로 분류
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✔ 내용물을 끝까지 짜낸 후 종량제 봉투에 폐기 ✔ 분리배출 마크가 있더라도 재질이 혼합이면 제외
💡 단, 단일 플라스틱으로 된 ‘친환경 튜브’ 제품은 재활용 가능 → 마크 확인
유리 공병은 재활용 가능 (단, 내용물 제거 필수)
향수병, 에센스병 등 유리 공병은 잔여물이 없고, 펌프나 금속 부속이 제거되었을 경우
투명/갈색/청색 유리병으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.
✔ 펌프, 고무마개, 금속캡 분리 ✔ 내용물 깨끗하게 제거 (물+세제 헹굼)
📌 색이 불명확한 유리, 유리 외 이물질 포함된 경우 → 일반쓰레기
맺음말: 화장품 용기, ‘분리와 세척’이 가장 중요합니다
화장품 공병은 소형 폐기물이지만 재질이 복잡하고 잔여물이 남기 쉬워 잘못 분리하면
전체 플라스틱/유리 재활용률을 낮추는 주범
이 됩니다.
오늘 사용한 스킨 공병, 로션 병, 클렌징 튜브— 내용물 확인하고, 펌프 분리하고, 올바르게 배출해보세요.
지속가능한 소비는 공병 처리에서 시작됩니다.